
2020. 1. 11.-18. 도쿄, 니가타, 나가노 여행기 0부 - 여행 개요
2020. 1. 11.-18. 도쿄, 니가타, 나가노 여행기 1부 - 도쿄 도착
2020. 1. 11.-18. 도쿄, 니가타, 나가노 여행기 2부 - 패트레이버 30주년 전, 아후리 라멘
2020. 1. 11.-18. 도쿄, 니가타, 나가노 여행기 3부 - 스타벅스 리저브 로스터리, 시부야 스카이
2020. 1. 11.-18. 도쿄, 니가타, 나가노 여행기 4부 - 츠키지 시장, 츠키지 혼간지
2020. 1. 11.-18. 도쿄, 니가타, 나가노 여행기 5부 - 카와사키 다이시, 울려라! 유포니엄 정기 연주회
2020. 1. 11.-18. 도쿄, 니가타, 나가노 여행기 6부 - 에치고유자와 도착
2020. 1. 11.-18. 도쿄, 니가타, 나가노 여행기 7부 - 유자와 고원, 새쫒기 행사, 온천료칸
2020. 1. 11.-18. 도쿄, 니가타, 나가노 여행기 8부 - 카루이자와
2020. 1. 11.-18. 도쿄, 니가타, 나가노 여행기 9부 - 마츠모토 도착
2020. 1. 11.-18. 도쿄, 니가타, 나가노 여행기 10부 - 마츠모토 성
2020. 1. 11.-18. 도쿄, 니가타, 나가노 여행기 11부 - 마츠모토 시립 박물관, 카이치 학교
2020. 1. 11.-18. 도쿄, 니가타, 나가노 여행기 12부 - 지고쿠다니 원숭이 공원
2020. 1. 11.-18. 도쿄, 니가타, 나가노 여행기 13부(끝) - 나가노 젠코지, 귀국
아침 먹을 시간. 저려미 여행인데다 도쿄 쪽은 원래 계획이 그다지 없었던지라 대충 인근 편의점에서 퉁칩니다. 테이블 있는 편의점이라 아침 먹는 직장인이나 학생이 많이 보이네요. 일본 편의점 식단이 꽤 다양하기는 하지만 도시락 쪽은 채소 반찬이 너무 없는 것 같아서 나이 든 입맛에는 한두번 정도 먹는 이상은 어렵긴 하네요. 샌드위치, 빵 종류는 여전히 압도적이지만요.

유라쿠초 방면으로 가다가 보이는 원통형 건물. 나중에 지도 찾아봐도 번지수만 나오지 건물 이름은 안 나오네요;;

밤에도 지나갔었지만 BMW 재팬. 카페테리아 형식으로 구성해서 문턱을 낮추고 있습니다.

어제 밤에는 심야버스 출발로 붐볐지만 지금은 한산한 도쿄역 앞 버스 터미널의 후리소데 아가씨. 목덜미 털이 따뜻해 보이네요.

JR 이스트 패스 수령하러 왔습니다. 지역권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는데 전 목적지가 니가타, 나가노니까 니가타/나가노 패스로 샀습니다. 일자 선택 없이 유연 5일이고(끊어서 하루 안 쓰기 등 가능), 가격은 18,330엔입니다. 거진 20만 되는 비용이지만 나가노 시나 니가타 시로 신칸센 왕복만 타도 본전이 나오는 수준이라 그정도 거리 가면 그냥 가격이고 날짜고 생각할 게 없습니다.
게다가 이번 여행에서는 한 도시 1박만 한다는 계획에 네 도시를 갈 생각이고, 전부 신칸센 아니면 특급인데 횟수가 많다보니 패스값 3배 정도는 건졌을 겁니다. 물론 근거리 완만을 타는데도 당연히 쓸 수 있습니다. 그 용도로 그다지 쓰지는 않았지만요. 입국 및 출국의 나리타 익스프레스까지 포함하기 때문에 나리타 입출국이라면 그것도 커버됩니다.(홈페이지)
사진은 정작 JR 패스는 없고 다른 건데, 일단 목적지 중 하나인 에치고유자와 근처에 있는 스키장 유자와 갈라의 금일 날씨나 눈 상태를 보여주고 있네요. 유자와 갈라 역은 겨울 스키 성수기에만 신칸센이 정차합니다.

그리고 이건 미야기 현의 자오 여우마을이란 곳인데, 현지 택시비까지 포함한 상품이 선보이고 있네요. 저기도 언젠가 가보고 싶긴 하지만 상품에 택시 왕복이 포함된데서 알 수 있듯 교통이 좋지 않다보니... 뭐 언젠가는 기회가 있겠죠. 원숭이도 두번 정도 봤으니 이제 볼만한 동물 관광은 여우마을이나 토끼섬 정도 남은 거 같습니다. 홋카이도 곰 구경은...하고 싶지 않고요.

출근시간 지나고 한가하게 대기 중인 택시 군단들. 구형 크라운이 대부분이지만 요즘은 신차들도 많이 보입니다. 올림픽용으로 만든 JPN TAXI도 종종 보이고요.



날씨가 꾸리꾸리.

클래식 알파. 일본 번호판 달린 서양 클래식카는 처음엔 어색하지만, 일본인 특유의 물건에 애착을 갖고 관리하는 성향 상 보존상태는 물론 실제로도 상당히 잘 굴러다닙니다.

뚜렷한 계획 없이 다소 헐렁하게 다니는 중. 도쿄국제포럼 건물에 걸린 신년 감사 서예.



모노포드랑 볼헤드 나사 사이즈가 안 맞아서 빅카메라 유라쿠초에 들렀습니다. 그렇게 큰 매장이 아닌데도 페이즈원 부스가 있네요. 물론 만져볼 수도 없지만... 같은 중형 메이커라고 해도 핫셀블라드가 전통적으로 좀 더 휴대성 중시의 모델들(베스트셀러 503CW도 있고 최근의 X1D 시리즈도 있고)을 내놓은 반면 페이즈원은 여전히 스튜디오! 삼각대 필수 풍경용! 이라는 느낌의 카메라를 만들고 있습니다. 물론 모듈화로 상당히 컴팩트하게 나오는 시스템도 있지만 손떨림 보정 없음, MF 전용 등등 여전히 고전적 중형의 포지션에서 벗어난 건 아니죠.
그 점에서는 핫셀블라드가 AF 미러리스 시스템인 X1D를 만든 건 확실히 대중친화적이긴 합니다. 개인적으로 중형 하면 그나마 엄두내볼 만한 건 핫셀블라드 X1D와 후지필름 뿐이긴 하네요. 사실 페이즈원은 당연히 저에게 전혀 안 어울리는 카메라입니다만, RAW 현상 프로그램으로 캡쳐원 프로를 쓰다보니 조금은 그들의 워크플로우랄까 철학에 대해 흥미가 생기긴 했습니다. 물론 핸드헬드 촬영을 중심으로 하는 이상 페이즈원과 만날 일은 없겠죠.(지갑도 없고요)

당시 신제품이던 E-M5 III의 광고. E-M5 III나 E-M1 III는 적당히 나왔다고 생각합니다. 딱히 큰 기술적 진보가 있지는 않지만 뭐 기술발전이 전체적으로 느려진 상황이라 이정도면 밥값은 하는 정도? 그리고 어차피 지금은 코로나19 사태로 신제품이고 뭐고 아무래도 좋은 꼴이 됐지만요. 렌즈교환식 시장 축소보다는 그게 더 치명타일 듯 하네요.
나사 어댑터랑 마침 에어팟 프로 케이스가 있길래 하나 사서 나왔습니다.


유라쿠초 역. 볼 일은 없습니다.


유라쿠초 역 앞의 렉서스 LC500. 렉서스 쪽에선 유일하게 제 드림카에 들어가는 녀석인데, 번호판 숫자도 0111이라 눈에 띄는데 무지개 워프 무늬까지 넣었네요.

유라쿠초 마루이. 0101(마루이치마루이치)이라는 마크가 독특한 백화점. 여기서 패트레이버 30주년 전을 한다고 해서 왔습니다.

9층인가 이벤트홀에 도착. 다른 애니메이션 기간한정 부스도 있더군요. 패트레이버 쪽 다른 지역 행사들 보니까 백화점에 이런 장소들이 곧잘 있는 듯 합니다. 패트레이버는 1988년에 구 OVA가 처음 나왔기에 30주년은 사실 2018년이 됩니다만, 전시 지역이나 컨텐츠를 바꿔서 아직까지 진행 중입니다. 오늘 보러온 전시는 구 OVA에서 TV판, 극장판 1편까지를 다루는 내용입니다.


대충 2m 정도 크기의 잉그램 모형. 그렇게 고퀄은 아니지만 대형 조형물은 어렵다는 걸 알기에...

티켓 구입. 왼쪽이 티켓이고 오른쪽은 특전 엽서인데 하필 온천 공중전화 하는 중년이라니...


특차 2과의 유니폼 레플리카.

패트레이버 비디오, LD 아트커버들. 전시 내용은 주로 설정화, 원화, 콘티 중심입니다. 대부분은 촬영 불가이고 이렇게 촬영허가가 되어 있는 곳만 몇군데 찍을 수 있었습니다. 단순히 원화나 설정화만 있으면 조금 실망했을텐데(사실 어떤 형태로든 이래저래 봤던 게 대부분이니까) 이즈미 노아의 성우인 토미나가 미나 씨의 음성해설을 들을 수 있는 QR 코드가 있습니다. 초기 제작에서의 황당한 일화나 신선한 설정 같은 얘기들이 나왔습니다.



극장판 1편의 주무대가 되는 '방주'의 스케일 모형. 퀄리티가 감탄할 정도는 아니지만 구조가 어떻게 되나 같은 건 알 수 있습니다. 사실 이 방주는 작중에서 당시로는 첨단기술인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씬이 아주 조금이나마 나온 바 있습니다.
또 극장판 1편의 비주얼적 특징으로 새로 알게 된 거라면 일부 씬에서 풀 애니메이션(영상 프레임 수만큼 동화 프레임을 넣은 것. 24프레임 영상물이라면 24프레임. 반대말은 리미티드 애니메이션)을 넣은 것입니다. 자위대 시제 레이버 포획전이라든가 바벨 내부의 추격전, 제로와의 격투 같은 부분들이 유달리 부드러운 것은 이 때문. 극장판 2, 3편에서는 이렇게 동화 수에 힘을 준 컷은 따로 나오진 않습니다. 사실 그 장면들은 멋지고 부드러워 보이지만 작품의 다른 파트와는 이질적으로 보이는 것도 사실이죠.

굿즈도 좀 샀습니다. 집이 생기기 전에는 장식해두기는 어려울 듯 싶지만... 대충 바벨 후드티, 상해정 배너, 팜플렛 같은 것들.


딱히 계획도 없다보니 그냥 도보로 이동할 수 있는 지역을 대충 걷고 있습니다. 유라쿠초에서 긴자를 거쳐서 니혼바시로 왔습니다. 에도 시대에 에도에서 교토까지 이어지는 토카이도(동해 가도)의 출발점이었던 곳이 이곳. 국도 1번도 여기서 시작하고, 정확한 위치야 차이가 있지만 도카이 재래선, 신칸센, 도메이-메이신 고속도로 등이 결국 다 이곳에서 출발하던 토카이도에 근간해 만들어졌습니다.
오사카에는 같은 한자지만 발음이 다른 '닛폰바시'가 있는데, 도톤보리 강 위에 있는 다리로 역시 상업의 중심지이지만 토카이도는 교토 까지라서 니혼바시에서 닛폰바시까지는 아니라는 게 트리비아 아닌 트리비아. 참고로 니혼바시보다 닛폰바시가 먼저 생겼기 때문에 오사카인들의 자부심이라나 뭐라나. 오늘날에 와서는 니혼바시는 여전히 다리로써 존재감이 강하지만 닛폰바시는 덴덴타운 등 상점가의 대명사 느낌이 강합니다.




과거엔 당연히 목조 다리였지만 지금은 메이지 시대에 만들어진 서양식 조형의 가로등으로 유명합니다. 패트레이버의 팬이라면 극장판 2에서 파괴되는 다리가 여기라는 걸 바로 눈치챌 듯...

그리고 다리 밑의 강으로 유람선도 있습니다. 지금은 영업시간은 아닌 것 같은데... 역시 극장판 2의 중요 장면인 나구모와 츠게의 접촉 장면이 이런 배경이었죠. 이곳은 아닙니다. 도쿄에는 이런 수로가 많으니까요. 일본 대도시를 다니면 운하가 있는 도시가 꽤 많다는 걸 알 수 있고, 또 대개 전근대에 만들어졌지요.



대충 체크리스트에만 넣어놨던 '스타벅스 리저브 로스터리 도쿄'를 가려고 긴자선 타고 시부야까지 왔습니다. 긴자선은 몇년 째 리노베이션 중인데 시부야 역등 일부분은 리뉴얼을 끝냈습니다. 열차도 샛노란 색으로 바뀌어서 눈에 띕니다. 시부야 역은 마치 고래 뱃속에서 갈비뼈를 보는 듯한 디자인이네요. 참고로 리뉴얼 후 동선이 헬이 되서 출퇴근 시간 환승이 개판이 됐다는 소문이...

시부야 역 광장은 한창 공사 중.

목적지는 시부야가 아니라 나카메구로의 스타벅스 리저브 로스터리인데 버스 타고 두세정류장 정도 이동했습니다. 사실 시간만 충분하면 걸어가기에도 충분합니다. 단지 완만한 언덕을 하나 넘어가야 해서 체력적으로 신경쓰일 수도 있고, 저는 그냥 귀찮아서... 버스에서 내려도 나머지 1/3 정도 거리는 걸어서 가야 하는데, 이 언덕은 아무래도 중산층 주택촌인 모양입니다. 느낌이 묘합니다.







스타벅스 리저브 로스터리 도쿄 도착. 스타벅스 리저브라면 한국에도 몇 지점 있지만, 그 리저브 중에서도 최상급 스케일과 추가의 오리지널 메뉴를 가진 곳으로 세계에 다섯 곳만 있습니다. 사실 한국의 스타벅스 사랑을 생각하면 서울에 한군데 정도는 당연히 생겨야 할 것도 같은데요. 뭐 이케아라든가도 결국 들어온 거 생각하면 시간문제라곤 생각하지만 아직은 소문도 없네요.

대기표 뽑으러 가는데 동네가 동네라 그런지 럭셔리 외제차들이...

쪼금 걸어가면 이런 건물이 나옵니다. 여기서 대기표를 뽑습니다. 대기실도 되지만 의자는 없어서...


번호표 뽑았습니다. 현재 3950번 입장 중이고 저는 4350번. 앞에 400명이나 있다는 얘기네요;; 예상 시간은 75분 정도로 한시간이 넘습니다. 딴데 갔다 와야할 듯.


늦은 아침 후 끼니도 없었겠다, 검색해서 라멘집이나 가보기로 합니다. 스타벅스에서 강 따라 동남쪽으로 내려가는 중. 이곳 메구로 강변은 유명한 벚꽃 명소입니다. 지금은 겨울이라 을씨년스럽기만... 쓰레기 버리지 말라는 아이의 그림이 있네요.

하지만 화단에 멋지게 걸쳐놓은 캔맥주가...





메구로 강변은 약간 힙스터 촌인 듯 합니다.

도착한 곳은 아후리 나카메구로 점(위치). 라멘 스프가 좀 특이하다고 해서 왔씁니다. 문 유리에 FINE RAMEN이라고 적어놨네요. 라멘을 파인 다이닝 컨셉으로 하는 거 같은데 약간 안 어울린단 생각도 들지만 가봅니다.

자판기에서 표 뽑고 바 자리에서 대기 중. 라멘 우산이 있네요. 팔기도 하는 듯.

생맥주부터...

닭기름 소스를 얼마나 넣느냐 선택하라고 합니다. 전 그냥 보통으로...


나왔습니다. 제일 기본메뉴인 듯한 유즈(유자) 시오(소금) 라멘으로 했습니다. 토핑 추가는 안 했는데 기본적인 수준은 따라오기도 하고 가격이 싼 편은 아니었기 때문에... 그리고 커피 마시면서 스위츠도 먹어야 할테니까요.
일단 닭기름 소스 얘기가 있었던대로 닭육수, 닭고기 차슈가 기본입니다. 돼지육수나 돼지 차슈를 원한다면 다른 곳을 찾으셔야 할 듯. 면발을 보면 굵직한데, 면 종류가 세가지 있습니다. 하나는 보통 가는 면(코쿠보소- 라고 합니다)이고, 두번째가 이 사각형에 굵은 면(테모미). 마지막은 곤약면입니다. 곤약면은 패스했고 그냥 굵은 면이 궁금해서 시켜봤습니다. 거의 가는 우동면발 수준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유자 라멘이니까 당연히 유자 기름과 향이 납니다. 시오 라멘이지만 사실 시오의 간보다는(당연히 간도 있지만) 유자의 새콤한 맛과 향이 더 지배적입니다. 보통 라멘이라고 하면 깊은 육수맛~ 소금맛~ 된장맛~ 간장맛~ 뭐 이런 스타일입니다만, 그렇게 깊은 쪽으로 가지 않고(닭육수는 대개 조금 덜한 편이긴 하지만 그래도 옅습니다) 향취 위주로 한 거 같습니다.
새콤한 맛을 그렇게 좋아하는 건 아니라서 아주 퍼먹고 싶다 그런 건 아니었는데 진한 육수맛 위주로 먹다가 부담없는 국물에 입가심 되는 새콤한 향취가 꽤 신선하긴 했습니다. 단골로 먹고 싶은 라멘이라고 할 순 없지만 별미로써 역할은 확실히 했습니다. 색다른 라멘이 먹어보고 싶다면 권해봅니다.
분량 관계로 끊어서 스타벅스는 다음 편에.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