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기 여행 0부 - 여행 개요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1부 - 코다이지 안드로이드 관음, 키후네 신사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2부 - 유포니엄 래핑열차, 오미 신궁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3부 - 마키노 메타세콰이어, 사이쿄지, 히요시 타이샤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4부 - 구 치쿠린인 정원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5부 - 치쿠부시마, 히코네 겐큐엔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6부 - 유포니엄 스탬프 랠리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7부 - 루리코인 라이트업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8부 - 신뇨도, 무네타다 신사, 요시다 신사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9부 - 교토대학 요시다료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10부 - 시모가모 신사, 난젠지, 쇼렌인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11부 - 토후쿠지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12부 - 니시,히가시 혼간지, 후시미이나리타이샤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13부 - 교토 닛폰 페스티벌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14부 - 키타노 텐만구, 아라시야마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15부 - 오하라 호센인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16부 - 오하라 산젠인(끝)
마지막 날. 이른 시간이라 오늘은 더더욱 규동집 밖에 가망이 없습니다. 요시노야 갔는데 뭐 유명인의 요시노야 먹는 법 추천메뉴 이런 게 있더군요. 누군지 모르지만 규동에 고기 추가로 따라해봤습니다.


지하철 타고 교토 역으로... 교토 지하철 홍보는 참 열심인데 노선이 2개 뿐이라... 그나저나 캐릭터 이름도 있군요.

교토 역 코인라커에 캐리어 넣어두고 갑니다. 간밤에 비가 내린 거 같은데 아침엔 개서 보기 좋군요.

오늘 목적지는 오하라(오오하라라고 해야겠지만). 작년 기온 마츠리 갔을 때 마지막 날 일정을 여기로 했는데, 이번에도 마지막은 여기로 잡았습니다. 막날 일정은 언제나 바로 보고 돌아오는 다소 어정쩡한 거리의 곳으로 하는 편입니다. 허튼 짓 해서 변칙행동 하다가 말아먹지 않도록... 물론 거리가 미묘해서 잘못하면 망하긴 마찬가지지만요. 쿠라마와 오하라 중에서 고민했는데 쿠라마의 단풍은 작년에 보기도 했고, 오하라는 여름만 가봤으니 오하라로 했습니다.
지하철 카라스마 선의 종점인 국제회관 역에서 버스를 타고 갑니다. 쿠라마의 경우에는 이곳보다는 데마치야나기 쪽에서 에이덴을 타는 게 더 낫겠지만 버스 노선도 마찬가지로 있네요. 여길 기준으로 동쪽으로 가냐 서쪽으로 가냐로 쿠라마냐 오하라냐 갈리니까... 오하라로 가는 버스는 역 앞 정류장이 아니라 길 건너편으로 가야 하는 점 주의.

비 온 다음날의 개운한 아침.


버스 타고 갑니다.


일찍 타서 자리에 앉을 수 있었습니다. 밑의 다리 있는 사진 건너편에 보이는 건물이 히에이잔 로프웨이 정류장. 오하라는 이곳 야세보다 훨씬 안으로 들어가야 하죠. 전철은 여기로 끝이고 버스 밖에 안 갑니다.


약 30분 정도 버스를 타고 오하라 정류장 도착. 종점입니다.

정류장의 안내 중에는 잣코인 방향 안내가 있는데, 여긴 지난번/오늘 가는 산젠인 방향과 반대 쪽입니다. 이쪽도 볼만하다는 거 같지만 아직 가보지 못 했네요. 언젠가 막날이 아니라 아예 하루 내서 오하라로 간다면 그때나 생각해 볼 듯.




아침의 풍경.

나무로 만든 길안내. 사실 빠질 길이 없어서 그냥 쭉쭉 가면 됩니다.










가을 시골풍경.

산젠인 입구 비문까지 도착. 한적하게 올라가고 있는데 갑자기 단체 관광객이 뒤에서 나타나길래 사람이 붐비기 전에 서둘러서! 라는 마음으로 빠르게 올라갔습니다.

산젠인 앞의 상점가.


사방에 젖은 단풍잎이...

첫 목적지는 산젠인이 아니라 다리 건너 계속 진격.



간판엔 법화당 이란 이름으로만 되어 있어서 몰랐는데, 사실 이 법당 건물 안쪽에는 덴노의 묘가 있다더군요. 82대 고토바 덴노, 84대 준토쿠 덴노(고토바의 셋째 아들)의 묘인데, 고토바 상황, 준토쿠 덴노는 카마쿠라 막부에서 쇼군 시해가 발생한 혼란을 틈타 막부 토벌을 계획했다가 패하고 유배당해서 죽었습니다.
83대인 준토쿠의 형 츠치미카도도 함께 유배를 자처했지만 반란(?)에 개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대접은 나쁘지 않았고, 유배길에 스토쿠 덴노의 영을 달래준 댓가로 복을 받아 그의 혈통이 훗날 덴노(88대 고사가)가 되었다는 설화가 있습니다. 실제로는 고토바/준토쿠의 막부 항재엥 가담하지 않은 혈통을 찾다 보니 형제, 조카 등을 더듬다 보니 그렇게 된 것입니다만...

비는 그쳤지만 산 속이라 햇빛이 아직 완전히 들지는 않는 으슥한 느낌의 아침.

오하라 하면 호센인! 사실 절 자체는 산젠인이 더 크지만... 관광지로썬 액자정원의 호센인이 더 유명할 듯 싶습니다. 제 느낌으로는 말이죠; 버킷리스트 관점에서 산젠인은 다소 보통 절이기 때문에. 호센인 입장이 9시 부터인데 거의 맞춰서 왔습니다. 애초에 시내에서 거리가 있기 때문에 개장시간에 딱히 사람이 몰려서 들어가는 모습은 아닙니다. 실제로 제가 첫 손님이었습니다.

수확의 가을이라 열매 류를 여기저기 많이 걸어놨습니다.


입장료 내고 들어갑니다. 유명한 액자정원의 소나무가 보입니다. 여기서 보기에는 그냥 평범한 인상?

가을의 일본은 군데군데 모과가 있습니다. 더러 가져가도 괜찮다는 곳도 있지만 어차피 농축산물 검역에 걸리기 때문에...

두번째 오지만 아직 의미를 잘 모르겠는 복도 천장에 걸린 가마.

액자정원 도착. 아무도 없습니다! 이 감격이란... 보통 액자정원으로 통하지만 정식 명은 盤桓園(ばんかんえん, 반칸엔, 반환원)입니다. 반납한다 그런 반환이 아니라 이럴까 저럴까 마음을 정하지 못 하고 배회한다는 의미입니다. 이 정원에 붙들리면 그럴 법도 합니다.

주지승이 아침 기도를 올리고 있습니다. 깔깔이 입고 있는데서 알 수 있듯이 상당히! 춥습니다. 이제 겨우 늦가을일 뿐이건만, 계곡이기도 하고 나무바닥, 다다미 바닥은 냉기가 정말 잘 올라옵니다. 신발 벗고 들어오는데 발이 정말 시렵습니다.

제자나 신도에게 가르침을 주기 위해 앉을 듯한 자리. 호센인은 본래 옆에 있는 절인 쇼린인의 승방으로 지어진 곳입니다. 쇼린인이 지금은 건물이 별로 없는 상황이라 절의 위세는 잘 모르겠네요. 뭐 그조차도 더 큰 절 소속이지 않을까요?


차와 다과가 나왔습니다. 여기 나오는 차는 우린 차가 아니라 진짜 갈아서 만든 말차라서... 그냥 생식 하는 거랑 비슷한 느낌. 다과의 단 맛으로 견딥니다.






홀로 정원을 차지한 그 느낌은 이루 말할 수가... 사진 얼른 찍고(사진은 목숨보다 중요하다!) 차 마시면서 평안을 가져 봅니다. 근데 바닥 진짜 찹습니다. 붉은 부직포를 덮어놓은 이유가 다 있습니다.



좀 더 있으니 다른 손님들이 와서 차가 더 나왔습니다.


정원을 만끽하는 사람들. 이정도 인원까지는 혼자보다는 아니더라도 딱 적당합니다. 제가 온 시간대는 언제나 꽤 이른 시간대여서 이것보다 많은 사람은 본 적이 없네요. 낮이 되면 꽤 몰릴텐데 그때는 입장인원을 컨트롤하거나 하지 않을런지. 좁은 곳이라서...

비에 젖은 나무가지가 아침해를 받으면서 김이 모락모락 나고 있습니다. 오늘 여러군데서 본 광경인데 과연, 나무면 이런 현상도 생기겠구나 싶습니다.










반칸엔의 자잘한 모습들.



방 구석의 햇빛 들어오는 밑창.


이런 저런 사진들. 눈 내린 호센인도 꼭 와보고 싶지만 요즘 날씨가... 두번째는 절을 방문한 헤이세이 덴노(황태자 시절). 정말 옛날이군요.




이런 저런 불교의 흔적.

다리 불편하면 쓰라고 의자도... 저는 그다지 쓰진 않지만 쭈그려 앉기에 불편한 다리를 갖고 있어서 유혹을 느낍니다.

다다미와 나무와 붉은 천.

옆 정원을 보러 갑니다. 정원 사이 벽에 잔뜩 떨어진 단풍잎. 여기도 김이 모락모락.

정원에서 보이는 건물 지붕.










옆 정원. 연못과 이끼, 나무, 석수들이 있고 鶴亀庭園(학과 거북이 정원)이라고 불립니다. 거북이 조각은 봤지만 학은 모르겠네요. 잉어가 더 돗보이는 듯 합니다만... 이 정원은 에도 시대에 만들어졌습니다. 참고로 액자정원은 나무 수령이 700년입니다. 정원이 창건된 시기는 16세기 정도인 듯.




중간중간 통로 같은 곳들.

본 건물을 나왔습니다. 세번째 정원은 건물 밖에 있는 가레산스이입니다.

정문 기준으로 건물 반대 방향으로 이렇게 계단 내려가면 나옵니다.





세번째 정원, 호라쿠엔(宝楽園, ほうらくえん). 보락원이라는 호화스런 이름입니다. 요로코롬 작은 신사 같은 것도 있고... 가장 최근인 2005년에 만들어졌습니다.




바닥에 해당하는 모래 구간에는 이런 덩어리들이 있고... 뭐 산이라든가 상징이겠죠. 여름에 왔을 때는 뭔가 썰렁한 느낌이었는데 낙엽이 사방에 떨어져 있으니 꽤 운치있는 모양이 됐네요. 비 내린 다음날이라 빗자국이 있어 그렇게 매끈한 모양은 아니지만요. 사실 비 맞아도 안 허물어진다는 거 자체가 신기하달까.

끈에 묶인 상태로 던져져 있는 돌덩이. 뭔가 선종적인 의미가 있겠지만 해설 없음.

물통 주위로 긴 돌을 욱일처럼(?) 빙 둘러놓은 조형.



낙엽도 떨어져 있고... 분위기 나네요.











모래바닥을 벗어나면 대체로 돌/이끼 정원. 돌다리가 중간에 있지만 이용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이걸로 호센인 관람은 끝. 여름의 녹음도, 단풍의 가을도 아주 좋았습니다. 벚꽃은 없으니까 남는 건 눈 내린 겨울인데... 아무래도 그건 쉽지 않겠죠; 교토 자체가 눈이 별로 안 오는 곳이기도 하고 올 겨울은 눈 많이 내리는 지역도 눈이 뜸할 정도였으니까요. 여긴 그나마 교토 치고는 산골 계곡이라 눈이 오는 편이라고 합니다만, 그때를 맞추기란 거의 불가능하지 싶습니다. 기록적 대설이 온다면 일주일 정도는 가능하겠지만요. 눈 내린 교토는 아직도 요원한 구경입니다.
바로 산젠인으로 이어지지만 분량 관계로 쪼갭니다.
덧글
그냥 막 먹기로는 요시노야가 그 시초인데, 4년 전에 교토에서 더운데 마땅히 생각해놓은 것도 없고 짜증나서 훌쩍 기어 들어갔죠. 근데 정말 그냥 메뉴가 일식인 패스트푸드일 뿐입니다. MSG와 양념 덕분에 잘 넘어가긴 하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