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기 여행 0부 - 여행 개요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1부 - 코다이지 안드로이드 관음, 키후네 신사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2부 - 유포니엄 래핑열차, 오미 신궁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3부 - 마키노 메타세콰이어, 사이쿄지, 히요시 타이샤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4부 - 구 치쿠린인 정원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5부 - 치쿠부시마, 히코네 겐큐엔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6부 - 유포니엄 스탬프 랠리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7부 - 루리코인 라이트업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8부 - 신뇨도, 무네타다 신사, 요시다 신사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9부 - 교토대학 요시다료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10부 - 시모가모 신사, 난젠지, 쇼렌인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11부 - 토후쿠지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12부 - 니시,히가시 혼간지, 후시미이나리타이샤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13부 - 교토 닛폰 페스티벌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14부 - 키타노 텐만구, 아라시야마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15부 - 오하라 호센인
2019. 11. 22.-29. 일본 칸사이 단풍 여행기 16부 - 오하라 산젠인(끝)
숙소 로비(?)에서 맞이하는 아침. 단풍철이라 그런지 시가도 숙소 구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비와 호 동서 접근성과 교토 접근성을 고려해 오쓰로 정했는데 오쓰 역사에 위치해 있는 호스텔입니다. 바, 레스토랑을 겸하고 있어서 저녁 시간엔 손님으로 떠들썩 합니다. 아침에는 호스텔의 아침식사 하는 손님 정도 뿐이고요. 창 밖으로 옆 광장이 보입니다.

숙박에 포함된 식사. 간단한 토스트에 샐러드, 요거트, 그리고 음료 한잔입니다. 아침을 듬직하게 먹는 사람에겐 좀 부족하려나. 저 같은 사람 말이죠.

입구에 신문이 놓여져 있는데 화두가 지소미아... 뭐 아직도 안 끝난 얘기죠.

창 밖으로 보였던 역 광장의 나무. 잎은 거의 다 떨어졌는데 여름엔 웅장했을 거 같네요.


옆 근처에 표지판과 이끼에 덮힌 멋진 나무가 있던데 그 뒤쪽엔 지장보살의 집이...




난생 처음 보유한 135mm 렌즈의 맛을 보는 중입니다. f2.8이긴 해도 자이스 APO라서 단순 밝기와 아웃포커싱 이상의 맛을 느낍니다. 그냥 뷰파인더로만 봐도 다른 바티스랑 확 다릅니다.

자일리톨 스러운 횡단보도.






대로를 따라 북쪽으로... 첫 목적지는 '비와코하마오쓰 역'입니다. JR이 아니라 케이한 소유의 이시야마사카모토 선을 보기 위해서입니다. 오쓰를 관통하는 노면전차로, 케이신선과 묶어서 오쓰 선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전 이름은 그냥 하마오쓰였던 거 같은데 비와코하마오쓰로 이름이 바뀐 듯... 종점 역 이름도 좀 더 복잡해진 듯 합니다.


노선에 거의 다 와가서 이제 육교로 올라서 가야하는데 그 전에 보이던 근대식 건물. 구 오쓰 공회당이라고 합니다. 지금은 거의 식당 건물로 쓰이는 듯.

펜스 너머로 열차가 지나갑니다. 익숙한 케이안의 그린화이트 도색.



비와코하마오쓰 역 인근은 이렇게 넓게 연결된 육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개찰구 자체도 윗층에 있고요.

투입 전 잠시 멈춰선 열차와 구 공회당 홍보 간판.

오쓰 항. 하마오쓰(浜大津)의 하마는 속어적으로 항구를 뜻하는 명칭으로 오늘날 항구의 정식명으로 쓰이진 않지만 옛 지명 형식으로 역 이름이라든가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하마 하면 요코하마가 생각나는데 도시 이름부터 들어갔으니 얼마나 항구도시로써 정체성이 강렬한지... 비와 호의 주력 페리 노선 상당수가 이 오쓰 항에서 출발합니다. 이곳을 통하지 않는 선은 호수 북부 쪽의 노선들 정도인데 비와 호를 슥 도는 관광 페리는 오쓰에서만 나갑니다.

비와코하마오쓰 역 앞에서 내려다 본 교차로. 오쓰선 두 노선이 모두 지나가는 지점으로 열차 왕래가 잦습니다. 또 교차로 구조로 노면전차 상태로 운전하는 핵심구역이기도 합니다. 차량도 같이 이용하기 때문에 신호에 따라 열차가 멈출 가능성도 많으며, 노면전차 찍기엔 아주 좋은 조건입니다.


육교를 내려와서 이전에 촬영했던 스팟을 확인해 봅니다. 이번에도 목적은 유포니엄 래핑 열차. 2017년에 들렀을 때의 기억이 그대로 납니다.(2017. 3. 29 ~ 4. 8. 간사이 여행기 5부 - 히메지 성, 유포니엄 성지순례) 이번에도 역시나 먼저 온 사람이 스팟을 잡고 있어서 위치는 참고하기 좋습니다.





열차 편성표를 보면서 목표가 오기 전에 일반 열차를 상대로 세팅을 시험해 봅니다.


양방향으로 오지만 이번에 오는 차는 남쪽에서 보는 게 좋을 거 같네요. 먼저 온 손님과 함께 자리를 잡습니다. 소니 유저인데 DSLT 사용자군요. 캠코더까지 만전의 준비를...

열차가 왔습니다. 폰으로 인증샷(?) 먼저 찍고 카메라로 준비를...







한번 스쳐 지나갑니다. 이쪽 방향은 쿠미코, 레이나, 하즈키, 미도리, 미조레, 노조미. 반대방향도 찍어야 하지만 다시 돌아오길 기다려야 합니다. 왕복 배차간격은 30분 정도려나.

인근 편의점에서 잠시 커피타임을 가지고(그리고 1월에 있을 콘서트 결제를 하고) 반대 방향에서 기다리니 다시 열차가 옵니다.








반대방향도 캐릭터는 같은데 프로필 카드 컨셉으로 디자인 차이가 있네요. 이쪽은 하복입니다. 이미지가 작아서 잘 안 보일지 모르지만 헤드마크는 하루카 부장, 유포니엄 3인조, 미도리, 쿠미코&카나데입니다.
이전에 왔을 때 기종은 a7R II였는데 2세대 거치는 동안 확실히 동체추적 촬영이 월등히 좋아지긴 했습니다. 동체추적 성능 자체보다는 역시 연사매수가 가장 크게 와닿고(한번만 빠르게 지나가니 많이 당겨서 건져야...), 동체추적 성능도 뭐 리얼타임 트래킹 덕분에 차량의 특정 지점에 맞춰 따라가기가 용이해졌습니다. 다만 이번엔 줌렌즈를 가져온 게 아니라 촬영의 유연성에선 좀 부족했네요.

래핑열차 구경은 마쳤으니 본래 관광으로 돌아갑니다. 첫 목적지는 오쓰 북쪽 방면에 위치한 오미 신궁. 방금 찍었던 이시야마사카모토 선을 타고 갑니다.

오미진구마에(오미신궁 앞) 역에 도착. 시가의 서쪽 방면을 올라서 가다보면 역 이름에서 오미란 단어를 많이 보게 됩니다. 오미는 이쪽 지역의 옛날 지명입니다. 전국시대 이야기를 보면 곧잘 볼 수 있습니다.

플랫폼의 거울.









역 주변의 풍경. 놀라울 정도로 사람도 없고 썰렁하네요. 주말이라 그런가.


차량기지가 있네요.


지도 따라 한적한 지방도시 외곽을 걷는 중.

버튼식 신호등인데 신호등 폴은 왜 저렇게 하천으로 향해 있으며 버튼은 또 암이 길쭉하게 나와 있는지...

버스 정류장.

오미 신궁 도착. 신궁이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천황가와 연관 있는 곳인데, 이곳은 그 중에서도 매우 근래의 것입니다. 건립 년도가 1940년이니까 말 다했죠. 이후 패전과 천황가, 국가신토의 쇠퇴를 생각하면 새로 설립된 신궁은 거의 없으리라 생각할 수 있는데, 홋카이도에 1964년에 홋카이도 신궁(메이지 덴노 제신)이 설립된 게 마지막이라는군요.
여튼 오미 신궁은 텐지 덴노를 모시는 신궁인데, 텐지 덴노는 아스카 시대에 이 지역으로 천도를 해 '오미오츠노미야(직역하면 오미오츠의 궁전)'을 지었는데, 그것을 서기(서양 책력이 아니라 일본 창세신화 상 진무 덴노의 즉위년도를 원년으로 하는 책력) 2600년인 1940년이 길한 해라고 하여 때맞춰 신궁을 건설한 것입니다.
사실 특별히 신앙의 대상이 될 만한 업적이나 존중이 있는 덴노는 아니라서 패전 전의 천황가 숭배랑 맞물려 얼렁뚱땅 창립된 거 같은 느낌이 있는데... 역사적으로는 소가의 세도정치를 끝낸 을사의 변의 주역이기도 하고, 백제부흥운동을 지원했다가 대패하여 국력에 크게 손상을 입습니다. 백제부흥운동이 끝난 뒤에는 신라, 당나라와 교류를 텄고 이곳에 있던 오미오츠노미야에서 죽었습니다.

대형 목조 토리이의 위용.

이치노토리이(첫번째 토리이)를 지나면 공원을 연상시키는 숲을 따라 참배로가 나 있습니다. 대사, 신궁 정도 급의 신사에서는 흔한 모습입니다. 현대에도 매우 격이 높고 큰 신사들은 이런 구조를 아직도 잘 보존하고 있지만 현대에는 많은 신사들이 이치노토리이에서 실제 신사 부지까지 이어지는 길이 거주지나 상가로 바뀌어 있습니다. 신사 부지에서 동떨어진 곳에 큰 토리이가 놓여져 있다면 보통 태초에는 거기부터 신사까지 이런 식으로 되어 있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계단을 올라가면 두번째 토리이.


신궁 앞의 주차장, 화장실 등이 있는 곳. 테미즈야도 큼지막합니다.



오미 신궁의 실질적 입구인 누문. 붉은 색으로 칠해져 있는데, 오미 신궁은 "쇼와 양식"이라고 불리는 신사 건축양식을 표방하고 있습니다. 1940년에 건설된 매우 근래의 신사이기 때문에 사실 건축물들의 문화재 지정 등급은 그리 높지 않습니다. 국보급으로 인정받는 건 원래 이곳에 있던 절이나 탑 등에서 나온 자잘한 유무들이고, 신사의 본 건축물은 그냥 등록 문화재 정도.
쇼와 양식이라고 하지만 그렇다고 콘크리트 떡칠이라거나 한 것도 아니라서 개성은 조금 애매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일단 에도 이후의 매우 보편적인 양식을 보여주고 있는 거 같기는 합니다만...

배전.





누문과 배전 사이의 뜰에 이런저런 조형이 보이는데, 그 중 상당수는 시계입니다. 특이하게도 경내에 '시계 박물관'이 있습니다. 외부에 전시되어 있는 건 전근대의 대형 시계들을 재현한 것들입니다. 금속의 용모양은 불시계이고, 해시계는 쉽게 알아 보시겠죠. 뭔가 덕지덕지 붙어있는 해시계도 있는데, 저건 일본 각지의 실제 시간을 계산해낼 수 있는 해시계라고 합니다. 물론 과거의 보존품은 아니고 전해지는 기록을 바탕으로 재현한 물건이죠.
시계 박물관에는 근현대의 고도의 기계시계들이나 한정판, 국가 간의 교류품 같은 것들이 있다고 합니다만, 신사 관람이란 목적과는 좀 동떨어진 듯 하고 시간도 없어서 보진 않았습니다. 시계만 있는 건 아니고 신사의 보물들(위에 언급한 국보 같은 것들)도 있다고 하는데 그래봐야 뭐 사리함이나 도자기 같은 것들이라서...








지붕과 가을의 정취.


배전의 왼쪽으로 난 길로 가보면 뭔가 일부만 떼어 놓은 듯한 건물을 볼 수 있습니다. 이건 메이지 초기인 1890년에 건설된 구 오쓰 법원의 문으로, 1971년에 이축, 보존된 거라는군요. 지금은 어째 신토적으로 꾸며져 버렸습니다만... 메이지 초기의 건축물이지만 재료와 문 자체는 서구적이라기보단 일본식입니다. 하지만 레이아웃은 서구적인 면을 갖고 있는데, 바로 차가 처마 밑으로 들어와 문으로 들어올 수 있게 만들어진 구조가 그러합니다.



오른편에는 참배를 마치고 온 가족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은 시치고산 시즌이라서 기모노를 입은 아이를 동반한 일가족의 모습이 쉽게 눈에 띕니다.




계단을 올라 배전으로 가니 본전에서는 한창 예배 중입니다. 시치고산 시즌이라 대기열도 장난 아닙니다. 왼쪽에서 들어와서 오른쪽으로 나가고 있습니다.

왼쪽 진입로를 따라 시치고산 참배를 하러 오는 가족들.



배전에서 내려다 본 누문.

볼 만큼 봤고 내려갑니다. 볼거리가 그렇게 있는 곳은 아닙니다.

참배로 내려가는데 왠 신난 아이가 만세를...







신궁을 나오며 이런저런 모습들.


차량 진입로 방향으로 내려왔는데 현대식 건물이 보이더라니, 지도를 찾아보니 시계, 안경, 보석장식 전문학교라고 합니다. 시계 박물관이 있더니 어느정도 구조화가 된 걸까요?

대로로 내려와서... 케이한의 손아귀는 여기까지 뻗어 있군요.




길 곳곳에 보이는 가을의 정취. 은행나무는 정말 하나도 안 떨어졌으면서 완전히 노란색이라 감탄했습니다.





이제 JR로 시가 북쪽 방향으로 갈 생각입니다. 케이한 쪽은 오쓰를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JR 패스는 이 시점부터 쓰기 시작. 가장 가까운 역인 '오쓰쿄' 역으로 가는 시골길.


중간에 '생장의 가'라고 간판이 걸린 신사 같이 생겼는데 신사도 아닌 뭔가가 있더군요. 나중에 찾아보니 신토계 신흥종교라는 듯 합니다.

오쓰쿄 역 도착. 열차를 기다립니다. 타카시마 사의 마키노 지역에 있는 메타세콰이어 길을 보러 갑니다. 다음 편에 계속.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