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EC가 말이 챔피언십이지 르망만 이기고 나면 다들 챔피언십 관심도 없어지고 나태해진다는 비판에 따라 르망을 최종전으로 봄~가을이 아니라 가을~여름으로 시즌을 조정하기 위해 이뤄진 2018-19 슈퍼시즌. 앞으로는 2019-20 같은 식이긴 해도 처음 시즌이 조정되는 이번 시즌만 1.5시즌 분량의 슈퍼시즌이 됐습니다. 그에 따라 르망이 2차전에 이어 최종전까지 장식하게 됐습니다.
사실 포르쉐가 철수한 뒤 이번 슈퍼시즌 르망 2회 우승은 어차피 토요타일 게 확정이었고 당연히 그렇게 됐습니다. 작년 첫 르망은 나카지마/알론소/부에미의 8번차가 우승. 하지만 올해는 그렇게 흘러가지 않을...줄 알았지만 그렇지 않았습니다.
폴을 딴 뒤 23시간 동안 초반에 피트스탑 타이밍에 따라 잠깐 자리를 내준 것 빼곤 계속 리드를 유지한 코바야시/콘웨이/로페즈의 7번차는 마지막 1시간을 남겨두고 펑쳐가 생기면서 예정에 없던 피트인을 해야했습니다. 그렇게 8번차가 앞선 뒤로 남은 피트인 횟수는 둘 다 1회. 8번차가 먼저 피트인해서 잠깐 7번차가 앞섰지만 결국 7호차도 급유를 하러 멈춰야했고, 8번차 뒤에서 피니시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사실 어차피 토요타가 이길거고 무려 한 시즌에 르망이 두 번 있는 슈퍼시즌이니 갈라먹었으면 딱 좋은 그림이었는데... 르망에선 르망이 우승자를 택한다고 하죠. 7번차가 우승했어도 8번차는 심하게 쳐지지만 않으면 WEC 챔피언십은 따놓은 당상이었는데 결국 르망 두 번과 챔피언까지 다 독식해버렸네요. 경기 후반 트러블의 아픔이라면 누구보다 잘 아는 토요타이고 본인도 겪어본지라 나카지마는 우승 직전 인터뷰에서 7번차가 트러블을 겪어서 마냥 기뻐할 순 없다고 말하기도.
뭐 정말 뻔할 뻔 했는데 그래도 드라마 없이 넘어가주진 않는군요. LMP2 우승 및 챔피언은 시그나텍 알피느, GTE Pro 우승은 AF Corse, 챔피언은 포르쉐, GTE Am은 포드 GT의 키팅 GT가 우승, 챔피언은 911 RSR을 쓰는 팀 프로젝트 1이 이겼습니다. GTE 클래스에선 이번 시즌은 포르쉐의 압승이었네요.(업데이트: 키팅 GT의 포드 GT가 연료탱크 규정위반으로 실격처리 되어 포르쉐가 우승하게 됐습니다.)
물론 르망에서 이기면 세상 다 가진 기분이라지만, 포르쉐도 '첫번째 르망'은 이겼단 말이죠. Pro, Am 모두 말이죠. 르망이 두번 있는 슈퍼시즌이라... 미드십으로 레이아웃 바꾼 게 제대로 효과를 발휘했네요. 그래도 두번째 르망은 페라리와 포드가 이긴 걸 보면 BoP 조정에 따라서 초반의 우위를 잃기는 한 듯 합니다.
두 번의 르망 우승을 뒤로 하고 알론소는 WEC를 떠날 예정입니다. 토요타는 2019-20 시즌에도 TS050 하이브리드로 참전하고, 이미 이번 경기 전에 20-21시즌부터 적용될 하이퍼카 규정에 맞춘 차량도 공개했습니다. 올해 초에 컨셉으로 공개된 바 있는 GR 슈퍼 스포트를 베이스로 개발될 예정입니다.
새 LMP1 규정도 발표되긴 했죠. 프로토타입 or 로드카 기반(20대 이상 생산)의 개조라는데 파워트레인 등은 엄격히 컨트롤되어 있습니다. 그동안 GTE 클래스에서만 놀던 애스턴마틴도 발키리로 LMP1에 참가하기로 한 등, 20-21시즌에 대한 기대가 높습니다. 물론 19-20 시즌이야 뭐 그냥 토요타가 또 해먹겠지만요.
ps.거대한 크기로 밈을 탄생시킨 BMW는 한 시즌만에 철수하기로 했습니다. 바바리안 노근성...
덧글
그와중에 모터스포츠에선 정말 근성없는 회사군요 BMW.. WRC에서 미니 뛰던 것도 정말 단기간이었고..
발키리 외형이 제 취향이라 정말 기대가 큽니다.
내년까지면 토요타도 르망종합우승 3회의 제조사가 되는군요
https://www.reddit.com/r/wec/comments/8rlcbn/in_awe_at_the_size_of_this_lad_stolen_from_4chan/
진짜인줄 알았습니다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