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엑스박스 '스칼렛' 발표 by eggry


 발표라고 해도 '프로젝트 스콜피오' 처음 발표할 때처럼 대략적인 타겟 사양일 뿐입니다. 클럭이 몇이고 메모리 용량이 몇이고 이런 내용은 아직 없습니다. 그래도 몇가지 언급으로 추측할 수 있는 내용들은 있습니다.

젠 2 젠 2 아키텍쳐에 대해서 공식 확인되긴 처음입니다. 소니의 경우 먼저 PS5(가칭)의 디테일을 내놓았지만 젠인지 젠 2인지 언급하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두 기종 모두 2020년에 나오는 이상 젠 2가 아닌 게 더 이상할 겁니다. 새로운 확인이긴 해도 너무 당연한 사항입니다.

나비 아키텍쳐 나비 아키텍쳐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악튜러스가 한참 멀기 때문에 PS5건 스칼렛이건 나비 아키텍쳐일 수 밖에 없습니다. 유일하게 궁금한 부분은 두 회사의 나비가 약간 버전이 다르다는 내부자들의 얘기인데 이게 어떤 차이를 만들지 모르겠습니다. 현재 인사이더 소식으론 PS5는 원래 풀나비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GCN 개선형을 쓰고 있고 그 다음부터가 진짜 RDNA 아키텍쳐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렇게 된 이유는 MS보다 떨어지는 호환기술과 좀 더 일찍 내려고 했기 때문이라고. 하지만 레이트레이싱을 위해 커스텀된 부분이 있다고 말이죠. 루머에는 MS는 원래부터 2020년 말에 낼 예정이었기에 완전한 나비를 이용할 것이라 합니다만, 전부 어디까지나 루머일 뿐입니다.

하드웨어 레이트레이싱 이건 소니도 말했던 것입니다. 궁금한 건 이게 엔비디아 RTX처럼 전용 처리모듈이 있는 식인가, 아니면 그저 컴퓨트 기반의 레이트레이싱이 준비되었다는 것인가입니다만... 일단 현재 루머는 어느 쪽이든 RTX 만큼은 아니라도 현재의 GCN 구성 그대로는 아니고 하드웨어적 양념이 추가되었다는 쪽입니다. 뭐 레이트레이싱 성능이 얼마나 될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X보다 4배 강력한 성능 GPU가 X보다 4배 빠르다면 정말 어마어마한 거지만, 현실적인 기대치는 소니든 MS든 2배 정도입니다. 어느 회사건 저는 차세대 콘솔 GPU는 테라플롭으론 12TF가 최대치라고 봅니다. 이것도 GCN 기준이고 이번엔 컴퓨트 성능인 떨어진다고 그래서 그것보다 낮을테고... 물론 렌더링 효율 개선은 기대하고 있어서 렌더링 성능은 2.5배 정도까지는 기대해 봅니다. CPU는 4배 정도 강해질 게 거의 확실합니다만. 레이트레이싱을 적극 활용해 전통적인 그래픽효과를 덜고 다른데 쓴다는 식의 얘기도 가능하겠죠. MS는 이게 CPU, GPU, 레이트레이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거라고 합니다만 컴퓨팅 성능은 그렇게 종합성능 같은 식으로 되지 않습니다. 어쨌든 이 4배라는 수치는 별로 말해주는 게 없습니다.

GDDR6 용량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GDDR6를 쓸 것은 확실히 했습니다. 사실 GDDR6는 가장 무난한 선택지입니다. 특히 용량 확보 면에서 제일 유리하기도 합니다. 용량은 최소 24GB에 최대 32GB 정도로 예상합니다. 확실한 건 GDDR6를 쓰기로 한 이상 메모리 구성은 가장 간단한 형태가 될 거란 겁니다. HBM처럼 DDR4나 GDDR6와 하이브리드 구성 같은 걸 궁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대신 대역폭 대립 문제가 우려됩니다만 어떤 해결책을 갖고 있을지 궁금합니다. 사실 저는 PS5도 비용과 복잡성 때문에 HBM은 쓰기 어려울 거라 보는 쪽이긴 합니다. 만약 HBM으로 간다면 과감함은 칭찬해줘도 되겠지요.

SSD 이 부분은 구체적으로 기술이 어떻게 되는지 알기 어렵습니다. 가령 40배 빠른 로딩속도를 제공한다고 하지만 이게 순수 피크 벤치마크인지 아니면 다른 층위의 메모리들을 모두 포함한 얘기인지 알 수 없습니다. 일단 소니의 스파이더맨 데모는 PS4보다 20배 빠른 로딩을 보여줬지만 이건 시간이고, MS의 경우엔 대역폭일 수도 있죠. 로딩속도에 대한 얘기는 별 의미 없어 보입니다. 그냥 두 기종 모두 SSD를 어떤 형태로든 쓸 것이고 로딩은 줄어들 거라는 정도 뿐입니다.

가상 RAM SSD의 응용에 대해 가장 흥미로운 언급은 이것입니다. GDDR6는 용량 면에선 HBM보다는 더 유리한 조건이라고 생각하는데, 가상 RAM이란 표현은 저는 게임 전체가 SSD에 올려져서 로딩속도를 올린다는 식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리고 이 말은 '스칼렛'의 SSD는 일반적인 스토리지가 아니라 메인 스토리지와 메모리 사이에 끼인 매우 빠른, 캐시 역할을 하는 존재이거나 혹은 일반적인 SSD는 있지만 한 층이 더 존재하는 것처럼 들립니다. 이것이 정확히 어떤 형태인진 알 수 없으나 저는 PS5나 스칼렛 모두 일반적인 SSD보다는(아무리 가격이 하락했다고 해도 저장용으론 2TB는 필요한데 비용문제는 아직 큽니다. 더욱이 소니나 MS가 자랑하는 것처럼 빠른 놈이라면 말이죠) 자동으로 관리되는 옵테인 같은 특수 SSD를 쓰고 전통적인 인스톨용으론 HDD가 그대로 남아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용량 확장의 유연성 면에서도 이쪽이 더 타당해 보입니다.

8K 120fps, HDMI 2.1 이건 그저 출력단자의 사양일 뿐 이 스펙으로 게임이 나올 기대는 하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PS5와 스칼렛에 그렇게 차이는 느껴지지 않습니다. 유일하게 변주를 줄 부분은 메모리 시스템이라 생각하는데 저는 PS5도 HBM이 아니라 GDDR6를 쓸 것이라고 봅니다. CPU는 완전히 동일할 가능성이 높고 GPU는 같은 기술이지만 구성에선 약간 다른 접근법을 보여줄 걸로 봅니다. GPU 성능 면에서는 스칼렛이 나을 가능성이 더 높긴 하지만 그 폭은 크지 않을 걸로 봅니다. 대충 오리지널 엑박원과 엑박원 S의 차이 정도?

 사실 루머에는 MS가 더 많은 엑스박스 모델을 준비하고 있다고 해서 이게 전부는 아닐 겁니다. '스칼렛'은 루머에서도 고가형의 코드명이었고, 저가형이 따로 나올 걸로 보입니다. 물론 이 저가형은 티징을 할 정도로 존재감을 발휘할 놈은 아니라 굳이 지금 언급할 가치는 없는 거겠죠. 저가형 '록하트'는 '스칼렛'의 CPU에 X 정도의 GPU를 갖춰서 '스칼렛'과 같은 게임을 같은 프레임에, 더 낮은 해상도로 할 수 있게 만들어질 듯 합니다. 그리고 X는 그 시점에서 단종되고 '록하트'로 대체되는 거죠. 내년 말에는 S, 록하트, 스칼렛으로 3단 구성이 될 듯 합니다.

덧글

  • isotoxin 2019/06/10 13:28 # 답글

    기가레이 같은 드립으로 10배 이상 성능을 내준다고 사기를 친 황언플도 있다보니 :p
  • eggry 2019/06/10 14:12 #

    R! T! X!
  • RuBisCO 2019/06/10 13:54 # 답글

    7년 재탕한 GCN을 PS5에서까지 재탕한다면 다음세대는 확실히 엑박이 우위를 가져갈지도 모르겠군요. HBM이 힘들다는 부분은 공감하는게 당장 메모리 칩 자체가 너무 비싸서 한동안 콘솔 같은 일반 컨슈머 시장에서 보긴 힘들거라고 봅니다. 그래도 처음엔 한 1,2년쯤 지나서 인터포저도 싸지고 하면 보급이 슬슬 되겠거니 하고 나이브하게 봤었는데 메모리 제조사들이 별로 의욕이 없는건지 그냥 영 시원찮은...
  • eggry 2019/06/10 14:13 #

    새 아키텍쳐를 엑박이 먼저 가져간다고 해도 성능향상폭은 제한적일 걸로 봅니다. 메모리의 경우엔 HBM이 완전히 가망 없는 건 아닙니다. 아직은 50:50 정도로...
  • ㅇㅇ 2019/06/10 14:03 # 삭제 답글

    개인적으로는 소니나 MS나 스펙 차이는 거의 없을 거라고 봅니다
  • eggry 2019/06/10 14:12 #

    가격도 성능도 다 그게 그거일 듯한...
  • PFN 2019/06/10 14:49 # 답글

    플스는 CELL로, 엑박은 ESRAM으로 한건씩 했었던지라
    독립된 레이트레이싱 가속같은 것은 별나보이는 짓은 서로 피할듯 합니다.
    자원을 절약해야하는 AMD 처지도 그렇고 원래의 연구 방향성도 그랬기 때문에
    범용 연산유닛을 더 때려박아서 지원하면 했지 AMD RT코어같은건 볼일 없을듯.
  • 은이 2019/06/10 15:47 # 답글

    SSD는 정식 추가 /교환 모듈 내지는 엘리트(?) 모델 기본 장비로 장착되지 않으려나요.
    일단 PS5가 대박 삽질을 하지 않는한 게임기로서 어찌될진...음...
    사실 게임기 본체보단 부가기능이라거나 신형 패드가 더 기대된다는게 (....)
  • Eraser 2019/06/10 16:45 # 답글

    RT모듈은 코어단위로 내장시켜도 시원찮은데 옛날 피직스마냥 외부에서 처리하면 프레임속력이 제대로 나올지가 의문입니다
  • 로리 2019/06/10 19:10 # 답글

    뭐 8K 지원이 되면 8K 테트리스 같은거나 나오겠지 싶긴 합니다. 일반적인 AAA게임은 잘 되려나 모르겠습니다.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Adsense Wide



2019 대표이글루_IT

2017 대표이글루_it

2016 대표이글루

2015 대표이글루

2014 대표이글루

2013 대표이글루

2011 이글루스 TOP 100

2010 이글루스 TOP100

메모장

Adsense Squ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