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디가 LMP1에서 2017년 이후 철수한다? by eggry


원문기사(Auto Motor und Sport)

AMuS 기사의 독영기계번역 중역으로 오역 있을 수 있습니다.

 아우디의 르망 프로그램이 끝나는 것일까? 잉골슈타트에 떠도는 소문이 맞다면, LMP1 철수는 이미 결정되었다. 아우디는 2017년을 마지막으로 LMP1을 그만둘 것이다.

 제보자에 따르면 아직 공식발표는 되지 않았지만 아우디의 이사회가 2017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LMP1 클래스 및 르망에서 철수할 것을 결정했다고 한다.


아우디 LMP1 철수의 징조들

 아우디의 철수는 새로운 논란은 아니지만, 최근 다시금 거새지고 있다. 몇달 동안, 폭스바겐 그룹은 디젤게이트 문제로 골몰해왔으며, 두 계열사 포르쉐와 아우디가 동시에 참가하는 것에 대해 논의가 있었으며, 일련의 징조들은 아우디가 밀려났다고 시사한다. 혹은 이미 철수가 결정되었다고 말이다.

징조1) 폭스바겐 그룹은 디젤게이트 스캔들에서 벗어나려 몸부림치고 있으며, 당연히 LMP1에서 두 브랜드가 경쟁하는 사치를 지속해야 하는지 의문을 갖고 있다. 르망은 한번 뿐이며 한 팀만 이길 수 있기 때문에, 결국 한 폭스바겐 브랜드는 억유로 단위의 손해를 보는 셈이다.

징조2) 아우디의 재정은 현재 압박받고 있다. 모든 예산이 감축압박을 받고 있으며, 특히 스포츠 부문은 "기부"로 간주되고 있다.

징조3) 자동차 업계 관계자들은 배출가스 규제 때문에 디젤이 뒤쳐진 기술이 되고 있다고 확신한다. 전문가들은 디젤 기술이 5에서 7년 내에 주류시장에서 퇴출될 것으로 본다.

징조4) 포르쉐와 아우디가 동시출전 하는 건 전임 이사장 피에히가 5년 전 승인한 것이다. 당시엔 디젤과 가솔린이란 다른 컨셉의 대결이라는 의미가 있었지만, 디젤 기술이 퇴출된다면 컨셉 경쟁은 무의미해진다.

징조5) 15년 사임 후 피에히의 영향력은 급격히 축소되었다. 피에히의 스포츠 정책이 계속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의문이 떠오르는 것은 당연하다. 폭스바겐 내부자들은 그룹 내 분위기는 우호적이지 않다고 마랗ㄴ다.

징조6) 포르쉐가 2015년, 2016년 연전연승 하며, 2년 연속 르망 우승까지 해낸 반면, 아우디의 성적은 좋지 못 하다.

징조7) 하이브리드 출력이 강화되는 2018년 LMP1 규정은 디젤에 불리하다. 2018년 규정은 현행 8MJ에서 10MJ로 하이브리드 클래스를 상향시킬 예정이며, 이 출력을 얻기 위해서는 복수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필수적. 디젤엔진의 무게 때문에 아우디는 하이브리드 출력 향상에 곤란하다. 아우디는 중량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했지만 실패했으며 결국 LMP1 프로그램을 종료하기로 결정되었다.

 마지막으로, 그룹 차원에서 스포츠 프로그램이 일대 전환기를 맞고 있는 중이다. 전임 벤틀리 보스 볼프강 뒤르하이머는 아직 현역이지만, 그의 동료였던 아들라텐 막스 벨티와 헬무트 그라이너는 6월부터 레이스에 모습을 내비치지 않고 있으며 경질된 것으로 보인다.

 이 모든 것은 아우디의 LMP1 철수가 이미 결정된 사항임을 시사하고 있다. 포르쉐는 LMP1에 잔류할 가능성이 높은데, 전임 포르쉐 CEO였던 마티아스 뮐러가 현재 폭스바겐 그룹 CEO이기 때문이다.


포뮬러1은 여전히 폭스바겐 그룹의 고려사항이 아니다

 많은 이들이 폭스바겐 그룹이-2011년엔 이뤄지지 않았지만- F1에 참가할지 궁금해 하고 있을 것이다. 폭스바겐 내부자들은 아니라고 말한다: 2014년 11월 아우디 이사회의 타당성 평가에 따르면, 진지한 포뮬러1 엔트리의 초기투자 비용은 15억 유로에 달할 것이며, 디젤게이트의 여파와 그룹의 재졍여건을 생각하면 타당치 않다는 것이다.

덧글

  • 로리 2016/10/14 15:02 # 답글

    뭐 폭스바겐 그룹 입장에서는 정말 돈을 아껴야 하니..
  • 무명병사 2016/10/14 15:54 # 답글

    밑장도 세계구급으로 빼먹다가 딱 걸렸으니 그럴만도 하겠군요.
  • ㅎㅎㅎㅇㅇㅇ 2016/10/14 16:03 # 삭제 답글

    디젤이 퇴출... 배출가스 기술은 정말 이게 한계인 건가요.

    이런 상황에서 F1 들어가는 건 말도 안 되겠죠. FE에서 봅시다.
  • 루돌프디젤 2016/10/15 00:18 # 삭제

    그런데 BMW는 지금 상태로도 앞으로 다가올 기준을 맞춥니다. 다른 회사도 BMW 디젤 뜯어보고 베끼거나 BMW에서 기술 사오면, 기준 통과할 겁니다.
  • eggry 2016/10/15 02:47 #

    디젤의 문제는 가능하냐 아니냐가 아니라 비용경쟁력이 점점 떨어진다는 점입니다.
  • 루돌프디젤 2016/10/15 15:48 # 삭제

    디젤이 비싸다고 해도, 하이브리드보다 쌉니다. 휘발유는 디젤보다 싸고 환경 기준도 맞추지만, 연비가 안 좋고요.
  • eggry 2016/10/15 16:28 #

    1) 디젤의 가격상승으로 하이브리드와 격차가 좁혀지고 있고
    2) 디젤의 가격상승이 가솔린에 대한 연비이득을 무효화하는 게 문제죠.

    소음, 진동까지 고려하면 당장 망할 건 아니지만 디젤의 메리트는 점점 떨어지고 있습니다.
  • 어른이 2016/10/14 21:41 # 답글

    아우디는 FE로 옮길 수도 있겠군요. DTM과 GT3,E 랠리크로스 등 스포츠카레이스세만 매진할 수도 있겠구요. TCR이나 랠리크로스같은 대회에서도 자사 브랜드들이 겹치는 VW인데, 그쪽은 건들생각이 없는 듯 하군요
  • eggry 2016/10/14 22:11 #

    이미 ABT 덕분에 반쯤 발을 담그고 있으니... 물론 DTM이나 GT 쪽으로만 집중할 수도 있겠고요.
  • ㅁワ< 2016/10/16 03:31 # 삭제 답글

    허어 아우디가 디젤을 선도하는 듯한 이미지를 풍기는 시절도 있었는데 먼저 발을 빼게 되다니 세상일 몰라요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Adsense Wide



2019 대표이글루_IT

2017 대표이글루_it

2016 대표이글루

2015 대표이글루

2014 대표이글루

2013 대표이글루

2011 이글루스 TOP 100

2010 이글루스 TOP100

메모장

Adsense Squ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