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타이어는 피렐리가 계약을 연장하지 못 하더라도 포뮬러1에 참가하지 않을 것이라고 소문을 일축했다. 한국 타이어는 현재 DTM과 F3 유로 챔피언십 같은 몇가지 카테고리에 타이어를 공급하고 있다. 하지만 DTM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엔지니어 마이클 에커트는 내년에 참가하기엔 너무 늦었다고, 참가 가능성을 일축하였다. 그는 또한 테스트 부족 때문에 장기적인 가능성도 비관적으로 평했다.
"2014년에 참가하는 건 타이어 개발에 드는 시간 상 완전히 불가능하다. 거기다 한국 타이어가 3,4,5년 이후 F1에 진출하는 걸 목표로 한다고 하더라도, 테스트 기회가 부족해 불가능한 실정이다. 현재의 머신과 드라이버를 이용해 충분한 양의 피드백을 얻을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에커트는 또한 장기적인 타이어 규정의 불안정성도 F1 타이어를 개발하는데 어려움을 더한다고 말했다.
"우리가 올해 첫 타이어 테스트를 시작한다고 해도 안전하고 성능 좋은 F1 타이어를 만드는데 3년은 족히 걸릴 것이다. 게다가 지금은 규정이 바뀌고 있다. 엔진, 섀시, 에어로...2014년 타이어의 크기도 확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13인치 타이어를 계속 할지 100% 확실하지 않다. 15인치나 17인치가 될 수도 있다. 5년 안에 18인치 타이어가 등장하는 것도 가능한 일이다."
에커트는 F1진출 가능성을 일축하면서도 한국 타이어가 모터스포츠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것이라고는 말했다. 한국 타이어는 최근 DTM과 유로 F3를 추가했으며, 슈퍼스타나 오토GP가 또다른 유명 카테고리이다.
F1은 계속 가능성의 하나로 남겠지만 그는 F1에 대해 강박관념을 가질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F1이 타이어 제조사의 종착점은 아니다. 엔지너이링 관점에서 F1은 최고의 도전이지만 재정적으로는 큰 투자가 필요하기도 하다. 타이어 뿐만 아니라 물류 인프라 등 모든 면에서 완전히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현시점에서 모든 한국 타이어는 한국에서 제조되며, 터키 공장을 가진 피렐리는 이 점에서 매우 유리하다."
"우리는 2014년에 F1에 참가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으며, 단기적으로는 전혀 목표가 아니다."
"우리는 분명 상황을 지켜볼 것이고 비즈니스적 관점과 브랜드 관점에의 기회라는데 관심은 있다."
덧글
지난번에 보니까 수퍼소프트로도 꽤 오래 버티는 것 같은데 말이죠.
다만 현대기아차는 기대도 안합니다 .... 랠리나 제대로 하라그래요 저번처럼 시즌중에 나오지 말고 쯧
뒤집어서 생각하면 헝가리도 옛 영광이 무너진 후 소련에 먹히면서 유럽의 변방이 되었죠. 현재 유로존에도 들어가 있지 않은 게 헝가리 입니다.
전세계에 Made in China가 팔리는 게 다들 중국을 예뻐해서 그런 게 아닙니다.
자의적 해석 운운하기 전에, 실컷 F1 타이어 이야기 하고 있는데 이제 와서는 소비자 대상이었다느니 어쩌니 하며 변명하는 것부터 한번 반성해보시는 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먼저 저 '관계자'는 한국타이어의 DTM 프로젝트 담당자라고 본문에 분명히 명시돼 있고, 글의 내용 역시 시종일관 '한국타이어의 F1 참가 문제'에 대한 것입니다.
Consumer market에 대한 내용은 눈을 씼고 봐도 그 어디에도 없네요.
그렇기 때문에 저 글에서 거론된 타이어 생산지 문제 역시 F1 타이어에 관한 것이라고 해석하는 게 가장 합리적이겠죠.
여기서 왜 일반 소비자용 타이어 얘기가 나오는지 논리적으로 납득이 안 될 수밖에 없습니다.
거기다 두 번째 댓글에서는 DTM 프로젝트 담당을 '한국타이어 유럽 현지 채용 담당자'라고 자의적 해석으로 보기조차 민망한 왜곡을 하셨는데 본문부터 똑바로 읽고 댓글을 다시는 게 맞지 않나 싶네요.
그리고 F1 타이어는 그것이 made in turkey이건 made in hungary이건 아무도 신경쓰지 않고 문제가 될 소지도 없습니다.
생산지에 따라 결정되는 건 타이어 제조사의 물류비 문제일 뿐이죠.
그 물류비 측면에서 (모터스포츠용 타이어를 생산하는) 피렐리의 터키 공장이 한국타이어 한국 공장보다 유리하다는 것이 저 담당자 발언의 요지입니다.
한국타이어 헝가리 공장을 비롯해서 자꾸 논점을 흐리는 이해하기 어려운 발언을 하고 계시는데, 그렇게 치면 피렐리도 터키 공장만 있는 건 아닙니다만?
피렐리 공장이 전세계 10개국에 있는데 굳이 터키에서 모터스포츠용 타이어를 생산하는 건 그것이 물류비를 포함한 비용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이죠.
타이어가 터키제라는 이유로 FIA에서 계약을 거부하기라도 할까요? ㅎㅎㅎ